애플이 최근 출시한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 기기 '비전프로'가 초반 흥행에 성공하며 올해 관련시장이 본격 개화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기업들도 경쟁에 뛰어들며 관련 부품업계도 수혜가 예상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이 마이크로소프트(MS)를 제치고 글로벌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애플의 주가는 24일(현지시각) 장중 196달러를 넘어서며 지난해 7월 이후 약 6개월 만에 다시 시총 3조 달러를 회복했다.
이는 애플이 지난 19일 예약 판매를 시작한 혼합현실(MR) 기기 ‘비전 프로’의 사전 예약 대수가 시장 예상치를 훌쩍 상회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혼합 현실 기기'란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를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기를 뜻한다. 사용자는 헤드셋과 같은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허공의 공간에 띄운 컴퓨터 영상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실제 공간과 가상공간이 혼재된 곳에서 회의하거나 게임을 즐기는 일이 가능해진다. 혼합현실 기기는 기존 공간을 응용한 가상 공간을 쉽게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MR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이 있다. 가상현실은 MR과 달리 현실과 완전히 분리된 가상 세계에서 콘텐트를 보여주는 방식을 뜻하며 헤드셋이나 컨트롤러 등의 장비 착용이 필요하다.
증강현실은 실제 세계에 가상의 디지털 정보를 덧입혀 주는 방식을 뜻하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앱을 통해 사용된다. 스마트폰 카메라속 실제 공간에 가상의 포켓몬 몬스터가 등장하는 '포켓몬GO' 게임이 대표적인 AR 사례이다.
이러한 몰입형 기술들인 MR·AR·VR 을 총칭하는 포괄적인 개념이 확장현실(XR)이다.
애플의 XR기기 비전프로가 흥행 조짐을 보이면서 LG전자, 삼성전자 등 국내 경쟁사들도 XR 기기 시장 참전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2년 갤럭시S23 언팩 행사에서 구글·퀄컴과의 파트너십 체결을 발표하면서 XR기기 개발 계획을 공식 선언했다. 당시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기자 간담회에서 “퀄컴·구글과 차세대 XR 생태계를 구축해 모바일의 미래를 다시 한번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후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X(모바일경험) 사업부 내에 XR 전담 연구개발 조직을 신설하는 등 개발에 속도를 내왔다.
통상 삼성전자는 매년 상·하반기 1회씩 '언팩' 행사를 여는데 업계에서는 늦어도 빠르면 6월, 늦어도 하반기 언팩 행사에는 삼성전자·퀄컴·구글 등 ‘반(反)애플 동맹’의 XR 헤드셋이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고 있다. 헤드셋 이름은 가칭 ‘플렉스매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애플에 FC-BGA 등의 부품을 납품 중인 삼성전기 역시 수혜가 예상된다. 비전프로에는 메인 연산기능을 수행하는 'M2' 와 카메라나 마이크 센서 등에서 받은 정보를 처리하는 'R1' 등 2개의 프로세서가 탑재되는데 삼성전기는 이 중 M2에 필요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FC-BGA)을 공급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삼성전기는 M2 이전 모델인 M1을 사용한 애플 제품군에 들어가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도 공급하는 등 애플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다.
LG전자 역시 최근 XR 시장 진출을 본격 선언했다. 지난 10일(현지시각)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4 전시회 에서 조주완 LG전자 CEO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파트너십을 통해 XR 사업에 대한 기회를 확보하고 협의를 해 나가고 있다"며 "연내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LG전자는 현재 '메타'와 손잡고 MR기기 출시를 준비 중이며 북미 이노베이션센터 'LG NOVA'를 중심으로 XR 분야 스타트업과 다양한 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올해부터 TV 사업을 이끄는 홈엔터테인먼트(HE)사업 본부에 XR사업담당 조직을 신설하고 전문인력을 채용하는 등 XR사업 구체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애플에 카메라모듈을 납품하는 LG이노텍은 최근 대만의 렌즈 제조업체인 AOE옵트로닉스에 대한 투자를 단행하고 XR용 광학부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LG이노텍은 지난 18일 AOE와 지분 투자 및 사업 협력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AO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어 핵심 광학부품에서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머리에 쓰거나 안경처럼 착용하는 XR기기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얼굴 표정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기술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폰이나 차량용 카메라와는 또다른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LG이노텍이 새로운 렌즈 개발을 위해 AOE와 손잡은 것으로 업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XR기기 시장 개화기가 도래하면서 국내 중소형 IT부품 업체들도 기대감이 큰 상황이다.
국내 코스닥 상장사 중 XR기기 부품 관련 기업들로는 OLED증착 전문 기업인 선익시스템, FPCB(연성회로기판) 제조 업체 뉴프렉스, 카메라 모듈 부품 업체인 나무가와 덕우전자,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전문 기업 라온텍 등이 거론된다.
이들은 삼성전자, LG이노텍 등 국내 대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어 XR시장 확대에 따른 간접 수혜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라온텍 관계자는 “당사 주력 제품인 마이크로디스플레이는 스마트 안경 등 XR기기나 자동차용 홀로그래픽 HUD(Head-up Display) 등에 사용된다. 관련 시장이 커지면 당연히 매출도 늘어날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애플, 공간 컴퓨터 비전 프로 출시일 확정 !! 가격 및 스펙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애플의 첫 공간 컴퓨터 비전 프로의 출시일이 확정되어 가격 및 스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애플의 첫 번째 혼합현실(MR) 기기 '애플 비전 프로(Apple Vision Pro)'가 내
myoungzife.tistory.com
LG전자, 투명에 무선 올레드 TV 공개!! 티비 뒤가 보이는 LG 시그니처 올레드 T!! 기능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LG전자가 세계 최초 무선 투명 OLED(유기발광) TV를 선보이는데요. 어떤 기능인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G전자는 2013년 세계 최초로 OLED TV를 출시한 이후 2019년
myoungzife.tistory.com
애플, 접는 폴더블폰 출시 !! 출시일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애플에서 폴더블폰을 개발 중에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 어떤 내용인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폴더블폰은 삼성을 이기기 힘들지만, 애플은 다르다” ,
myoungzife.tistory.com
삼성전자 갤럭시탭S9 FE VS 탭S7 FE 비교 분석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갤럭시탭 S7 FE와 비교하여 갤럭시탭 S9 FE 얼마나 달라졌는지 비교해 보겠습니다. 드디어 전 세계 사용자들이 기다려온 삼성의 고성능 보급형 태블릿이 그 모습을 드러
myoungzife.tistory.com